1976년 쑹판-핑우 지진

북위 32° 41′ 동경 104° 12′ / 북위 32.69° 동경 104.2°  / 32.69; 104.2[1]종류역단층형 및 좌수향 주향이동단층형 지진[2]피해피해 지역쓰촨성 쑹판현핑우현사상자38명 사망, 800여명 부상

1976년 쑹판-핑우 지진(중국어: 1976年松潘平武地震)은 1976년 8월달에 크게 세 차례의 대지진으로 구성된 중국 쓰촨성 쑹판형-핑우현 지역의 군발지진이다. 1984년 지진 보고서에 따르면 현지 시각 기준 8월 16일, 22일, 23일 일어났으며 지진의 규모는 각각 7.2, 6.7, 7.2이다(정확히 무슨 규모를 사용했는지 미표시).[2] 현대 와서는 모멘트 규모 기준 각각 6.9, 6.4, 6.7이며 표면파 규모 기준 7.0, 6.6, 6.7이다.[9] 본진에 앞서 3년간 군발지진이 이어졌다. 그 외에 8월 16일부터 8월 31일까지 규모 M3.0 이상의 여진이 400회 이상 발생했다.[10]

지진이 발생하기 3개월 전에는 지진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경보가 발령되었다.[11] 지진으로 쑹판, 핑우, 마오원, 난핑 등 4개 현에서 38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주택 5천채 이상이 붕괴되고 가축 2,800마리 이상이 폐사했다. 지진은 서쪽으로는 간쑤성 가오타이현까지, 남쪽으로는 윈난성 쿤밍시까지, 북쪽으로는 내몽골 자치구 후허하오터시까지, 동쪽으로는 후난성 창사시까지 느껴졌으며 지진을 느낀 지역은 반경 1,150 km에 달했다.[12] 총 사상자수는 800여명인데 이 중 600여명이 대부분 산사태로 발생한 경상자이다.[11] 쓰촨성 지진국은 이 지진을 "성공적으로 예측"했다는 공로로 1978년 중국 과학기술상을 수상했다.[13] 하지만 당시에는 지진 예측의 오경보 문제가 너무 심했고 1976년 8월 들어선 약 5억명이 지진 걱정으로 실외에서 잤을 것이란 추정이 있으며 쓰촨성 등 중국 서부에서만 1억명 가까이가 실외에서만 생활한 부작용이 있다.[14]

같이 보기

각주

  1. ISC-GEM Event 709781 [IRIS].
  2. Jones 등. 1984, 7697쪽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 error: 대상 없음: CITEREFJonesHanHaukssonJin1984 (help).
  3. Jones 등. 1984, 7700쪽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 error: 대상 없음: CITEREFJonesHanHaukssonJin1984 (help).
  4. Jones 등. 1984, 7701쪽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 error: 대상 없음: CITEREFJonesHanHaukssonJin1984 (help).
  5. ISC-EHB Event 709871 [IRIS].
  6. ISC-EHB Event 710167 [IRIS].
  7. ISC-EHB Event 710223 [IRIS].
  8. ANSS: Sichuan 1976a .
  9. ISC-EHB Event 709871 [IRIS]. ISC-EHB Event 710167 [IRIS]. ISC-EHB Event 710223 [IRIS].
  10. Jones 등. 1984, 7698쪽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 error: 대상 없음: CITEREFJonesHanHaukssonJin1984 (help)
  11. “Past successful Chinese earthquake predictions”. 《Liaoning Earthquake Administration》. 
  12. Xinhua News Agency. “Earthquake with scale 6 or higher Since 1976”. 《China Earthquake Administration》. 
  13. “30th anniversary of the Songpan–Pingwu earthquake”. 《Sichuan Earthquake Administration》. 2013년 11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0월 14일에 확인함. 
  14. 루시 존스 2020, 201쪽. harv error: 대상 없음: CITEREF루시_존스2020 (help)

참고 문헌

  • ANSS, 〈Sichuan 1976a: M 6.9 - Sichuan-Gansu border region, China〉, 《Comprehensive Catalog》, U.S. Geological Survey 
  • ANSS, 〈Sichuan 1976b: M 6.4 - Sichuan-Gansu border region, China〉, 《Comprehensive Catalog》, U.S. Geological Survey 
  • ANSS, 〈Sichuan 1976c: M 6.7 - Sichuan-Gansu border region, China〉, 《Comprehensive Catalog》, U.S. Geological Survey 
  • 국제지진센터, 《ISC-EHB Bulletin》, Thatcham, United Kingdom 
  • 국제지진센터, 《ISC-GEM Global Instrumental Earthquake Catalogue》, Thatcham, United Kingdom 
  • Jones, L. M.; Han, W.; Hauksson, E.; Jin, A.; Zhang, Y.; Luo, Z. (1984), “Focal mechanisms and aftershock locations of the Songpan earthquakes of August 1976 in Sichuan, China” (PDF),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89 (B9): 7697–7707, Bibcode:1984JGR....89.7697J, doi:10.1029/jb089ib09p07697 .
  • 루시 존스 (2020년 4월 27일). 권예리; 홍태경, 편집. 《재난의 세계사》. 눌와. ISBN 979-11-89074-17-3. 

외부 링크

  • 국제 지진학 센터에 본 지진의 서지 및/혹은 해석 데이터가 있습니다.
  • v
  • t
  • e
역사지진
  • 태산 (기원전 1813년?, M?)
  • 산시성 신저우 (512년, M7.5)
  • 산시성 딩샹 (1038년, M7.25)
  • 광둥성 차오저우 (1067년, M6.5)
  • 지린성 쑹위안 (1119년, M7)
  • 북직례 지역 (1290년, M6.8)
  • 산시성 린펀 (1303년, M8.0)
  • 윈난성 리장 (1515년, M?)
  • 산시성 (1556년, M8.5)
  • 백두산 인근 (1597년, M8)
  • 광둥성 산터우 (1600년, M?)
  • 푸젠선 취안저우 (1604년, M7.5)
  • 광둥성 (1605년, M?)
  • 산둥성 린이 (1668년, M8.5)
  • 산허-핑구 지역 (1679년, M8.0)
  • 쓰촨성 캉딩-루딩 지역 (1786년, M7.75)
  • 윈난성 쑹밍 (1833년, M8.0)
  • 충칭 (1856년, M?)
  • 간쑤성 우두 (1879년, M8.0)
20세기
  • 지린성 왕칭 (1902년, M6.6)
  • 광둥성 산터우 (1918년, M7.2)
  • 닝샤성 하이위안 (1920년, M8.3)
  • 윈난성 다리 (1925년, M7.0)
  • 간쑤성 구랑 (1927년, M8.0)
  • 신장성 푸윈 (1931년, M8.0)
  • 간쑤성 주취안 (1932년, M7.6)
  • 간쑤성 창마 (1932년, M7.6)
  • 산둥성 허쩌 (1937년, M7.0)
  • 헤이룽장성 둥닝 (1940년, M7?)
  • 압록강 하구 (1944년, M6.8)
  • 티베트-아삼 경계 (1950년, M8.6)
  • 티베트 당슝 (1952년, M7.5)
  • 쓰촨성 유자 (1955년, M6.8)
  • 광동성 광저우 (1962년, M6.1)
  • 허베이성 싱타이 (1966년, M7.2)
  • 보하이만 해역 (1969년, M7.4)
  • 광둥성 양장 (1969년, M6.4)
  • 윈난성 퉁하이 (1970년, M7.5)
  • 쓰촨성 루훠 (1973년, M7.9)
  • 지린성 왕칭 (1973년, M7.8)
  • 윈난성 다관 (1974년, M7.1)
  • 랴오닝성 하이청 (1975년, M7.5)
  • 윈난성 룽링 (1976년, M7.3)
  • 쓰촨성 쑹판-핑우 (1976년, M6.7)
  • 허베이성 탕산 (1976년, M7.5)
  • 쓰촨성 다오푸 (1981년, M6.8)
  • 윈난성 루취안 (1985년, M6.3)
  • 신장 우차 (1985년, M7.4)
  • 윈난성 란창-겅마 (1988년, M7.6)
  • 칭하이성 궁허 (1990년, M7.0)
  • 윈난성 우딩 (1995년, M6.2)
  • 윈난성 리장 (1996년, M7.0)
  • 내몽골 바오터우 (1996년, M6.4)
  • 신장 가스 (1997년, M6.4)
  • 티베트 마니 (1997년, M7.9)
  • 허베이성 장베이 (1998년, M6.2)
  • 윈난성 닝랑 (1998년, M6.2)
  • 지린성 왕칭 (1999년, M7.0)
  • 윈난성 야오안 (2000년, M5.9)
21세기
  • 티베트 쿤룬산맥 (2001년, M8.2)
  • 지린성 왕칭 (2002년, M7.2)
  • 신장 가스-마랄베시 (2003년, M6.3)
  • 신장 자오쑤 (2003년, M6.0)
  • 장시성 차이쌍 (2005년, M5.7)
  • 윈난성 옌진 (2006년, M5.1)
  • 쓰촨성 (쓰촨 대지진) (2008년, M8.2)
  • 윈난성 더훙 (2008년, M5.9)
  • 쓰촨성 판즈화 (2008년, M6.1)
  • 티베트 당슝 (2008년, M6.4)
  • 윈난성 야오안 (2009년, M5.7)
  • 윈난성 위수 (2010년, M7.1)
  • 광둥성 선전 (2010년, M3.8)
  • 윈난성 잉장 (2011년, M5.8)
  • 윈난성 이량 (2012년, M5.7)
  • 쓰촨성 야안 (2013년, M7.0)
  • 간쑤성 딩시 (2013년, M6.6)
  • 지린성 첸궈얼뤄쓰 (2013년, M5.8)
  • 신장 케리야 (2014년, M7.3)
  • 윈난성 잉장 (2014년, M6.1)
  • 윈난성 루뎬 (2014년, M6.5)
  • 윈난성 징구 (2014년, M6.6)
  • 쓰촨성 캉딩 (2014년, M6.3)
  • 신장 피산 (2015년, M6.4)
  • 신장 아커타오 (2016년, M6.7)
  • 쓰촨성 주자이거우 (2017년, M7.0)
  • 신장 징허 (2017년, M6.3)
  • 쓰촨성 칭촨 (2017년, M5.4)
  • 티베트 미린 (2017년, M6.9)
  • 지린성 쑹위안 (2018년, M5.3)
  • 윈난성 퉁하이 (2018년, M5.0)
  • 쓰촨성 이빈 (2018년, M5.7)
  • 쓰촨성 쯔궁 (2019년, M4.9)
  • 쓰촨성 이빈 (2019년, M6.0)
  • 쓰촨성 네이장 (2019년, M5.4)
  • 간쑤성 샤허 (2019년, M5.7)
  • 신장 카슈가르 (2020년, M6.4)
  • 주강 삼각주 (2020년, M3.5)
  • 윈난성 차오자 (2020년, M5.0)
  • 허베이성 탕산 (2020년, M5.1)
  • 윈난성 양비 (2021년, M6.4)
  • 칭하이성 마둬 (2021년, M7.4)
  • 윈난성 루현 (2021년, M5.4)
  • 칭하이성 먼위안 (2022년, M6.9)
  • 쓰촨성 야안 (2022년, M5.8)
  • 쓰촨성 루딩 (2022년, M6.8)
  • 산둥성 핑위안 (2023년, M5.5)
  • 간쑤성 지스산 (2023년, M5.9)
  • 신장 우스 (2024년, M7.0)